반응형 사르후다8 17세기 조선 육군, 나선(러시아) 정벌에 출병.【16】 제2차 나선 정벌-철수 문제. 2-2 언제 조선으로 돌아간단 말인가?조선군은 닝구타로 출발하지 못한 채 일란과 얼마 떨어지지 않은 지역에서 야영을 하면서 대기할 수밖에 없었다. 사르후다가 청군 부상병들을 닝구타로 후송하도록 지시한 7월 8일 신류 사령관도 군관 유응천(柳應天)의 인솔 아래 중상을 입은 포수 15명과 화병 3명, 수솔(隨率) 2명을 닝구타로 후송하여 치료를 받도록 했다. 나머지 군사들도 야영 생활이 장기화되면서 고통을 겪고 있었다. 설상가상으로 11일부터 14일까지 소나기와 우박이 내리고 거센 비바람이 몰아치는 일기불순마저 겹쳤다. 신류 또한 귓병이 악화되고 감기 몸살 증세도 나타났지만 주변에 의료진이 전혀 없었기 때문에 무작정 참을 수밖에 없었다. 7월 중순에 접어들자 식량 수급 대책이 더욱 절박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20일.. 2024. 7. 30. 17세기 조선 육군, 나선(러시아) 정벌에 출병.【15】 제2차 나선 정벌-철수 문제. 2-1 청군의 귀국 보류 지시 조선군은 청군과 함께 작전 지역에서 철군하기 시작했다. 1658년 6월 14일 날씨는 흐렸으나 동풍이 세차게 불어 쉽사리 쑹화 강 상류로 항진할 수 있었다. 15일에는 날씨가 화창하고 바람마저 잠잠했으나 상류로 갈수록 수량도 적어서 매우 느리게 항진할 수밖에 없었다. 한편 청군 지휘부는 전투 결과 보고서를 작성하여 16일에 북경의 중앙 정부로 발송했다. 이때 조선군의 인명 피해 상황을 전사자 8명과 부상자 25명으로 기록했는데, 청군과 차별하지 않고 1등부터 5등까지 다섯 단계로 세분하여 보고했다. 이날 보고서에서 청군의 인명 피해 상황도 처음 알려졌다. 육군 80여 명과 수군 30여 명이 전사하고 200여 명이 부상한 것으로 기록되었다. 반면에 러시아 원정대는 사령관 스테파노프를.. 2024. 7. 28. 17세기 조선 육군, 나선(러시아) 정벌에 출병.【14】 제2차 나선 정벌-헤이룽 강 전투 작전 지역 이동청나라에서 건조한 전선이 도착한 이튿날인 6월 3일부터 본격적인 출동 준비 작업을 시작했다. 이때 조선군은 40일 동안 먹을 수 있는 군량을 청군에게 빌려 보충했다. 출발 당시에 휴대한 3개월치 가운데 이미 1개월분을 소모한 상황이라 유사시에 대비하여 취한 조치였던 것이다. 1차 출병 때는 물론 2차 출병 이후로 처음 지원 받은 군량이었다. 그러나 무상 지원이 아니기 때문에 되로 빌린 군량을 말로 갚아야 하는 고충이 기다리고 있었다. 그리고 작전에 돌입하기에 앞서 실태를 점검하였는데 전투에 참가하기 곤란한 환자 등을 선별하여 귀국시켰다. 비에 젖은 화약을 말리다가 폭발 사고를 당해 화상을 입은 김우일과 피부병이 악화된 강응방을 귀국자로 분류했다. 그 밖에 적재량이 초과하여 승선할 수 없는 .. 2024. 7. 15. 17세기 조선 육군, 나선(러시아) 정벌에 출병.【12】 제2차 나선 정벌-헤이룽 강으로 출동하다(2-1) 두만강 너머 만주로 조선군 신류 사령관이 남긴 《북정록》을 중심으로 제2차 출병 전체 과정을 복원해보면 다음과 같이 전개된다. 신류는 《북정록》이 시작되는 1658년 4월 6일 회령부에서 조총수의 사격 훈련을 실시했다. 최초로 실시한 조총 사격 훈련에서 51명이 표적에 명중시켰다. 몇 명이 사격 훈련에 참가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만족스러운 성적이라고 볼 수는 없는 수준이라고 했다. 그 이튿날에는 군사들에게 개인 장비를 지급하면서 철저히 정비하도록 했다. 16일 경원 부사가 송별연회를 열어준 데 이어 18일에는 함경북도 병마절도사 김시성이 위로연을 베풀어 이들의 장도를 격려했다. 북병사 김시성은 경상 병사를 거쳐 전년도 6월에 부임한 무신 출신이다. 그는 남한산성에서 인조를 모시고 있다가 전쟁이 끝난 후 .. 2024. 5. 1. 17세기 조선 육군, 나선(러시아) 정벌에 출병.【11】 제2차 나선 정벌 준비 조선이 경제적으로 어려움에 처해 있던 1658년(효종 9, 청 세조 순치 15) 3월 초 차사(差使) 이일선(李一先)이 청국 세조의 칙서를 휴대하고 입국했다. 이일선은 전년 3월 말에 입국했던 대통관 이일선(李一善)과 동일 인물로 보인다. 효종은 국왕의 일상 집무실인 희정당(熙政堂)에서 맞이했다. 효종은 청국의 의도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대담을 나누었다. 이일선:대국이 군병을 동원하여 나선을 토벌하려는데 군량이 매우 부족합니다. 조선에서 군사적으로 도와주셔야 하지 않겠습니까. 조선에서 5개월치의 군량을 지원해주십시오. 효 종:적의 형세는 어떠한가? 이일선:적군은 1,000여 명에 지나지 않는다고 하나, 저희가 이처럼 달려오게 된 것은 북로(北路)에 비축한 군량이 없어서 조선의 곡식을 수송하여 군량으.. 2024. 4. 24. 17세기 조선 육군, 나선(러시아) 정벌에 출병.【7】 제1차 나선정벌 전투 조선군을 선봉에 세우려는 청군의 속셈 러시아 원정대가 탄 전선은 조선군이 청군과 함께 타고 간 대형 화피선보다 훨씬 컸던 것으로 보인다. 개선한 직후에는 상세한 내용이 보이지 않다가 이듬해(1655) 4월 23일 효종이 참석한 가운데 사령관 변급이 구두로 보고한 것이 가장 자세하다. 당시 변급은 윤대 무신(輪對武臣)으로서 주강(晝講)에 참석했다. 주강은 4품 이상의 무신이 매일 교대로 회의에 참석하여 혹시 있을 국왕의 질문에 대비하는 제도인데, 마침 변급의 차례가 되자 보고한 것으로 보인다. 효종이 참석한 가운데 사서삼경(四書三經)의 하나인 《시경(詩經)》〈시구(鳲鳩)〉편을 강독하는 절차가 끝나자 변급이 직접 보고했다. 효종이 추가 질문을 하고 다시 변급이 답변하는 형식이었다. 이때 보고 내용의 줄거리는.. 2024. 3. 27.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