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류7 17세기 조선 육군, 나선(러시아) 정벌에 출병.【17】 제2차 나선 정벌-나선정벌이 남긴 것.(끝) 경제 사정 악화와 변방 안정 대책비록 청의 요청에 따른 것이었지만, 나선정벌은 당시 북벌 의지를 불태우고 있던 국왕 효종이 실전을 통해 조선군의 전투력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효종의 적극적인 북벌 준비가 없었더라면 출병 요청을 거절할 구실이 생겼을 것이며, 현실성 부족한 북벌정책이 오히려 역효과를 가져온 것이라는 최근 연구자의 주장은 주목할 만하다.조선군 출병부대가 두만강을 건너 만주 지역으로 들어간 후에 사간원(司諫院)에서는 변방 지역 주민의 생활안정과 국방력 강화를 위한 정부 차원의 대책을 강구할 것을 건의했다. 제1차 출정과 마찬가지로 제2차 출정 역시 함경도에서 추진된 실정을 감안하여 함경도 지역 주민의 생활 안정과 방위력 증강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함경도가 도성에서 가장 멀리 떨.. 2024. 8. 1. 17세기 조선 육군, 나선(러시아) 정벌에 출병.【16】 제2차 나선 정벌-철수 문제. 2-2 언제 조선으로 돌아간단 말인가?조선군은 닝구타로 출발하지 못한 채 일란과 얼마 떨어지지 않은 지역에서 야영을 하면서 대기할 수밖에 없었다. 사르후다가 청군 부상병들을 닝구타로 후송하도록 지시한 7월 8일 신류 사령관도 군관 유응천(柳應天)의 인솔 아래 중상을 입은 포수 15명과 화병 3명, 수솔(隨率) 2명을 닝구타로 후송하여 치료를 받도록 했다. 나머지 군사들도 야영 생활이 장기화되면서 고통을 겪고 있었다. 설상가상으로 11일부터 14일까지 소나기와 우박이 내리고 거센 비바람이 몰아치는 일기불순마저 겹쳤다. 신류 또한 귓병이 악화되고 감기 몸살 증세도 나타났지만 주변에 의료진이 전혀 없었기 때문에 무작정 참을 수밖에 없었다. 7월 중순에 접어들자 식량 수급 대책이 더욱 절박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20일.. 2024. 7. 30. 17세기 조선 육군, 나선(러시아) 정벌에 출병.【15】 제2차 나선 정벌-철수 문제. 2-1 청군의 귀국 보류 지시 조선군은 청군과 함께 작전 지역에서 철군하기 시작했다. 1658년 6월 14일 날씨는 흐렸으나 동풍이 세차게 불어 쉽사리 쑹화 강 상류로 항진할 수 있었다. 15일에는 날씨가 화창하고 바람마저 잠잠했으나 상류로 갈수록 수량도 적어서 매우 느리게 항진할 수밖에 없었다. 한편 청군 지휘부는 전투 결과 보고서를 작성하여 16일에 북경의 중앙 정부로 발송했다. 이때 조선군의 인명 피해 상황을 전사자 8명과 부상자 25명으로 기록했는데, 청군과 차별하지 않고 1등부터 5등까지 다섯 단계로 세분하여 보고했다. 이날 보고서에서 청군의 인명 피해 상황도 처음 알려졌다. 육군 80여 명과 수군 30여 명이 전사하고 200여 명이 부상한 것으로 기록되었다. 반면에 러시아 원정대는 사령관 스테파노프를.. 2024. 7. 28. 17세기 조선 육군, 나선(러시아) 정벌에 출병.【14】 제2차 나선 정벌-헤이룽 강 전투 작전 지역 이동청나라에서 건조한 전선이 도착한 이튿날인 6월 3일부터 본격적인 출동 준비 작업을 시작했다. 이때 조선군은 40일 동안 먹을 수 있는 군량을 청군에게 빌려 보충했다. 출발 당시에 휴대한 3개월치 가운데 이미 1개월분을 소모한 상황이라 유사시에 대비하여 취한 조치였던 것이다. 1차 출병 때는 물론 2차 출병 이후로 처음 지원 받은 군량이었다. 그러나 무상 지원이 아니기 때문에 되로 빌린 군량을 말로 갚아야 하는 고충이 기다리고 있었다. 그리고 작전에 돌입하기에 앞서 실태를 점검하였는데 전투에 참가하기 곤란한 환자 등을 선별하여 귀국시켰다. 비에 젖은 화약을 말리다가 폭발 사고를 당해 화상을 입은 김우일과 피부병이 악화된 강응방을 귀국자로 분류했다. 그 밖에 적재량이 초과하여 승선할 수 없는 .. 2024. 7. 15. 17세기 조선 육군, 나선(러시아) 정벌에 출병.【13】 제2차 나선 정벌-헤이룽 강으로 출동하다(2-2) 조선 정벌군의 속사정조선군과 청군은 전선을 기다리면서 인근지역 주민들로부터 러시아 원정대의 움직임에 관한 첩보를 몇 차례 입수했다. 일란에 도착하기 직전인 14일 청군 지휘부는 러시아 전선들이 헤이룽 강 하구에 집결한다는 첩보를 입수했고, 25일에는 러시아 전선 11척이 먼저 헤이룽 강 하구에 도착한 가운데 그 뒤를 따라 다른 11척이 계속해서 항진하고 있다는 첩보를 추가로 입수했다.이 같은 첩보를 제공한 주민들은 앞서 러시아 원정대에 부역(附逆)했다가 조선군과 청군 대부대가 진출하자 후환이 두려워서 다시 청군 쪽으로 돌아선 자들이었다. 따라서 이들이 제공한 첩보를 액면대로 믿을 수만은 없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수로 정찰선 1척과 육로(陸路) 정찰 기병을 파견했다. 5월 27일에 돌아온 육로 정찰 기.. 2024. 5. 15. 17세기 조선 육군, 나선(러시아) 정벌에 출병.【12】 제2차 나선 정벌-헤이룽 강으로 출동하다(2-1) 두만강 너머 만주로 조선군 신류 사령관이 남긴 《북정록》을 중심으로 제2차 출병 전체 과정을 복원해보면 다음과 같이 전개된다. 신류는 《북정록》이 시작되는 1658년 4월 6일 회령부에서 조총수의 사격 훈련을 실시했다. 최초로 실시한 조총 사격 훈련에서 51명이 표적에 명중시켰다. 몇 명이 사격 훈련에 참가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만족스러운 성적이라고 볼 수는 없는 수준이라고 했다. 그 이튿날에는 군사들에게 개인 장비를 지급하면서 철저히 정비하도록 했다. 16일 경원 부사가 송별연회를 열어준 데 이어 18일에는 함경북도 병마절도사 김시성이 위로연을 베풀어 이들의 장도를 격려했다. 북병사 김시성은 경상 병사를 거쳐 전년도 6월에 부임한 무신 출신이다. 그는 남한산성에서 인조를 모시고 있다가 전쟁이 끝난 후 .. 2024. 5. 1.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