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왜조총2

17세기 조선 육군, 나선(러시아) 정벌에 출병.【12】 제2차 나선 정벌-헤이룽 강으로 출동하다(2-1) 두만강 너머 만주로 조선군 신류 사령관이 남긴 《북정록》을 중심으로 제2차 출병 전체 과정을 복원해보면 다음과 같이 전개된다. 신류는 《북정록》이 시작되는 1658년 4월 6일 회령부에서 조총수의 사격 훈련을 실시했다. 최초로 실시한 조총 사격 훈련에서 51명이 표적에 명중시켰다. 몇 명이 사격 훈련에 참가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만족스러운 성적이라고 볼 수는 없는 수준이라고 했다. 그 이튿날에는 군사들에게 개인 장비를 지급하면서 철저히 정비하도록 했다. 16일 경원 부사가 송별연회를 열어준 데 이어 18일에는 함경북도 병마절도사 김시성이 위로연을 베풀어 이들의 장도를 격려했다. 북병사 김시성은 경상 병사를 거쳐 전년도 6월에 부임한 무신 출신이다. 그는 남한산성에서 인조를 모시고 있다가 전쟁이 끝난 후 .. 2024. 5. 1.
17세기 조선 육군, 나선(러시아) 정벌에 출병.【9】 조선의 군사력 증강과 청의 견제-효종의 북벌의지와 현실적 난관(2-1) 청의 조총 요구 효종은 청나라에 대한 복수 이데올로기인 ‘북벌(北伐)’을 지상과제로 삼고 있었다. 이 때문에 즉위 초부터 청의 감시를 피해가며 군사력 강화 정책을 추진해 나갔다. 특히 금위영(禁衛營) 군사들의 복색(服色)과 옷 형태를 실용적으로 개조하는 조치를 단행한 것은 효종의 관심이 군사력 증강에 집중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례다. 금위 장사(禁衛將士)들의 경우는 활동이 용이하도록 소매 짧은 군복으로 개선하고, 기타 위졸(衛卒)들의 군복도 선명한 색상의 화려한 비단으로 제작하였다. 실질적 국방군인 중앙군의 사기를 높이고 위상을 강화하려는 조치였다. 즉위 8년째인 1657년 1월에 효종은 조정 대신들이 모인 자리에서 훈련대장 이완에게 훈련도감의 군사력에 대해 물었다. 이때 이완의 보고에 의하면 훈.. 2024. 4.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