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어재연2 한국의 성곽 공방전 7-7. 西歐 列强의 침입과 강화도 공방전(1866·1871) 유럽제국이 18세기 후반의 산업혁명으로 경제력과 군사력을 축적하고 동아시아로 관심을 돌리자 노대국 청나라도 열강의 상품 시장 및 원료 공급지로 전락했다. 뒤이어 일본도 개항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으나, 동양 삼국 중에서 오직 조선만이 쇄국을 고수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상황하에서 프랑스와 미국의 침공으로 ‘양요(洋擾)’가 발생하게 되었다. 1866년의 병인양요는 프랑스 극동함대가 강화도와 한강 수로의 입구를 봉쇄하면서 야기된 무력 충돌사건이다. 이해 정월, ‘병인사옥(丙寅邪獄)’으로 천주교 신자 8천여 명과 프랑스인 선교사 9명이 처형되자, 리델은 텐진(天津)으로 탈출하여 극동함대 사령관 로즈 제독에게 이 사실을 알렸다. 이에 극동함대가 1866년 9월 정찰을 마치고, 10월 군함 7척으로 재침하였다. .. 2024. 1. 10. 격동의 19세기 조선(20) - 강화도 광성보 전투 미국 아시아 함대 상륙부대는 초지진을 점령한 후 강화해협을 따라 북상했고, 포함 모노카시호는 1871년 6월 11일 새벽부터 덕진진에 공격준비사격을 시작했다. 이로 인해 덕진진의 조선군도 피해를 입고 후방으로 퇴각했다. 아시아 함대 상륙부대는 초지진 후방에서 야영한 후 11일 덕진진을 무혈로 점령하였다. 퇴각했던 조선군 수비대는 덕진진에 진입한 상륙부대에 기습 공격을 시도했으나 이번에도 실패하고 말았다. 이 무렵 광성보 일대에는 진무영 중군 어재연(魚在淵)이 지휘하는 병력 5초가 투입되었으므로 전력이 크게 강화되었다. 그런데 아시아 함대의 해상 지원부대가 11일 정오 이후로 광성보 일대에 함포사격을 개시하고, 상륙부대도 대포 4문으로 조선군 진지에 포격을 가하자 광성 돈대를 중심으로 주둔한 어재연의 조선.. 2023. 5. 2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