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이항로2

격동의 19세기 조선(24:끝) - 실권자 흥선대원군 하야 1866년 병인사옥 이후로 병인양요와 신미양요(1871)를 겪으면서 조선 조정의 대외정책은 강경일변도로 치닫게 되었다. 따라서 척양척왜(斥洋斥倭)를 부르짖는 재야 유림세력의 입지가 크게 강화되었다. 급기야는 조정의 또 다른 강경세력과 제휴함으로써 자신들의 강화된 발언권으로 새로운 목표를 추구해나갔다. 1873년 윤 6월 성균관 유생 이세우 등이 흥성대원군에게 ‘대노(大老)’의 존호를 올리자고 상소했다. 그러나 11월 이항로의 제자인 최익현이 흥선대원군을 탄핵하는 상소로 맞불을 질렀다. 재야 유림세력은 앞서 1865년(고종 2) 철폐된 ‘만동묘’를 복원하도록 주장하여 조정의 지원을 이끌어냄으로써 1874년 7월 만동묘를 중건하는 데까지 이르렀다. 만동묘는 임진왜란(1592) 때 조선에 지원군을 파견하여 도.. 2023. 7. 15.
격동의 19세기 조선(21) - 조선의 서구 세력에 대한 인식 변화(2-1) 조선 조정은 프랑스 함대가 조선해역에서 빠져나간 직후인 1866년 11월 12일 도성 외곽지역에 배치했던 병력들을 복귀시키고, 계엄도 해제했다. 14일에는 강화유수부 복구 사업을 총괄할 심영 영조도감을 설치하기로 하고, 강화도 복구작업에 필요한 각종 물자와 경비·인력 등을 재정 담당 부서와 각 영문에서 전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우선권을 부여해 주었다. 그리고 프랑스 함대의 불법침입과 조선의 정당방위를 대외적으로 널리 알리는 홍보작업도 병행해 나갔다. 예컨대 부산의 왜관에 병인양요의 전후 과정을 자세히 기술한 문서를 비치하여 일본인들이 열람할 수 있도록 하였다. 뿐만 아니라 천주교 근절대책을 강구하면서 외세의 침입에 대한 국민적 경각심을 고조시켰다. 동래부와 의주부 등지에는 서양 물품의 유통을 금지시키고.. 2023. 6. 1.
반응형